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비만은 질병! BMI 25 넘으면 우리 몸에서 벌어지는 일들

by 헬씨노트 2025. 8. 2.
반응형

비만은 질병! BMI 25 넘으면 우리 몸에서 벌어지는 일들

 

"조금 살찐 것뿐인데, 뭘 그렇게 유난이야?" 툭 튀어나온 뱃살을 보며 스스로를 위로하거나, 주변의 걱정을 대수롭지 않게 넘기고 계신가요?하지만 만약 그 '조금 살찐 상태'가 사실은 우리 몸속에서 수많은 질병의 씨앗을 키우는 '질병' 상태라면 어떨까요?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미 오래전부터 '비만'을 심각한 '질병'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기준점이 되는 숫자 중 하나가 바로 체질량지수, 즉 'BMI 25'입니다. 오늘, 이 숫자를 넘어서는 순간 우리 몸속에서 어떤 무서운 일들이 벌어지기 시작하는지, 그 위험한 연쇄 반응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내 몸의 위험 신호, BMI 계산법

내 몸의 위험 신호, BMI 계산법

 

이야기를 시작하기 전, 먼저 내 몸이 보내는 신호를 확인해 봐야겠죠. BMI(Body Mass Index)는 키와 몸무게를 이용해 지방의 양을 추정하는 가장 보편적인 비만 측정법입니다. 계산은 아주 간단합니다. 자신의 몸무게(kg)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누면 됩니다. (예: 65kg ÷ (1.7m x 1.7m) = 22.5)

 

아시아-태평양 지역 기준, 이 수치가 18.5 미만이면 저체중, 18.522.9는 정상, 2324.9는 과체중, 그리고 25 이상부터는 '1단계 비만'으로 진단합니다. 이 숫자는 단순히 외모의 문제가 아닌, 당신의 건강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의학적인 경고'입니다. 지금 바로 BMI 계산기로 당신의 상태를 확인해 보세요.

네이버 BMI계산기 바로가기

 

혈관 속에 기름이 둥둥, 고장 나는 신호등

혈관 속에 기름이 둥둥, 고장 나는 신호등혈관 속에 기름이 둥둥, 고장 나는 신호등

 

BMI 25를 넘어서면, 우리 몸에서 가장 먼저 비상이 걸리는 곳은 바로 '혈관'입니다. 필요 이상으로 늘어난 지방세포는 혈액 속으로 끊임없이 지방을 흘려보냅니다. 이 기름기들은 혈관 벽에 차곡차곡 쌓여 혈관을 좁고 뻣뻣하게 만드는 '동맥경화'를 유발합니다.

 

또한, 비만은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이라는 신호등을 고장 나게 만듭니다. 인슐린이 제 기능을 못 하면 혈액 속의 당이 처리되지 못하고 둥둥 떠다니게 되죠. 이것이 바로 '당뇨병'으로 가는 고속도로를 타는 것입니다.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이 무서운 '성인병 삼총사'는 모두 비만이라는 이름의 문을 통해 우리 몸으로 들어옵니다.

 

온몸에 불이 난다, 만성 염증 상태

온몸에 불이 난다, 만성 염증 상태온몸에 불이 난다, 만성 염증 상태

 

지방세포는 단순히 에너지를 저장하는 창고가 아닙니다. 특히 내장지방은 스스로 염증을 유발하는 '염증 물질'을 끊임없이 뿜어내는 '활화산'과도 같습니다. BMI가 25를 넘는다는 것은, 내 몸이 24시간 내내 약한 불길에 휩싸여 있는 '만성 염증' 상태에 놓여있다는 뜻입니다.

 

이 염증 물질들은 혈관을 타고 온몸을 돌아다니며, 관절을 공격해 '퇴행성 관절염'을 악화시키고, 심지어 정상 세포를 암세포로 변하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비만이 대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등 각종 암의 발병 위험을 높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잠자는 동안 찾아오는 '소리 없는 암살자'

잠자는 동안 찾아오는 '소리 없는 암살자'잠자는 동안 찾아오는 '소리 없는 암살자'

 

비만은 우리가 잠든 사이에도 쉬지 않고 우리를 공격합니다. 특히 목 주위에 쌓인 지방은, 잠자는 동안 숨 쉬는 길(기도)을 좁게 만들어 '수면 무호흡증'을 유발합니다. "코골이가 심하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면, 이 위험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수면 무호흡증은 단순히 시끄러운 잠버릇이 아닙니다. 자는 동안 우리 뇌와 심장에 산소 공급이 부족해지는 매우 위험한 상태로, 돌연사의 주된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낮 동안의 심한 피로감과 집중력 저하는 덤입니다.

 

이제는 '치료'가 필요한 시간

이제는 '치료'가 필요한 시간이제는 '치료'가 필요한 시간

 

이처럼 비만은 단순한 외모나 체중의 문제가 아닌, 우리 몸 전체를 병들게 하는 심각한 '질병'입니다. 하지만 너무 절망할 필요는 없습니다. 비만은 우리가 원인을 명확히 알고 있고, 생활 습관 개선을 통해 충분히 '치료'하고 '관리'할 수 있는 질병이기 때문입니다.

 

체중을 5~10%만 감량해도, 혈압과 혈당은 눈에 띄게 개선되고, 몸속의 염증 수치는 현저히 낮아집니다. 오늘 당신의 BMI 수치가 경고등을 켰다면, 더 이상 외면하지 마세요. "조금 살찐 것뿐"이라는 안일한 생각을 버리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건강한 '치료'를 시작해야 할 때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비만은 질병! BMI 25 넘으면 우리 몸에서 벌어지는 일들

 

Q. BMI만으로 비만을 판단하는 게 정확한가요?
A. BMI는 완벽한 지표는 아닙니다. 예를 들어, 근육량이 매우 많은 운동선수는 지방이 적어도 BMI 수치가 높게 나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BMI와 함께 '허리둘레'(남성 90cm, 여성 85cm 이상 시 복부비만)를 함께 측정하여 판단하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Q. 마른 비만도 위험한가요?
A. 네, 매우 위험합니다. 체중은 정상이지만, 근육은 부족하고 배에만 지방이 몰려있는 '마른 비만(내장지방형 비만)'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아 더 위험할 수 있습니다. 겉보기 체중보다, 내 몸을 구성하는 '체성분'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Q. 그럼 어떻게 살을 빼야 하나요?
A. '덜 먹고, 더 움직이는 것'이 유일한 정답입니다. 가공식품과 단 음식을 줄이는 건강한 식단 관리와, 걷기나 자전거 타기 같은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병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혼자서 어렵다면, 병원이나 보건소의 비만 관리 프로그램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추가 정보 및 도움이 되는 자료

반응형